맛따라길따라/천반산자연휴양림

천반산 소개와 지도

153뉴스 tv 2015. 6. 12. 00:58

 진안'천반산'                                   산행코스: 휴양림-천반산(깃대봉)-말바위-성터-송판서굴-뜀바위-장전마을 

                                   천반산 (天盤山) 646.7m


                                       백두대간 상의 남덕유산(1,507.4m) 서쪽으로 약 1km 거리인 서봉(1,510m, 일명 장수 덕유산)

                                       에서 대간을 이탈해북서쪽으로 가지를 치는 능선이 있다. 이 능선은 약 5.5km 거리인 19번

                                       국도가 넘어가는 솔고개에서 잠시 가라앉았다가 약 4km 더 이어진 다음 영구산(802.3m)을

                                       빚는다. 영구산에서 남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약 8km 거리에 이르러 구량천과 금강 상류에

                                       막혀 이상 나가지 못하고 들어올려진 산이 천반산(646.7m)이다.

 

                                       전북 진안군 진안읍, 동향면과 장수군 천천면 경계를 이루는 천반산은 주능선 일원이

                                       소반과 같이 납작하다 하여 그런 이름이 생겼다는 설과, 땅에는 천반, 지반, 인반 이라는

                                       명당자리가 있는데 이 산에 천반에 해당하는 명당이 있다 해서 지어졌다는 설이 있다.

                                       또 산 남쪽 마을 앞 강가에는 장독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가 하늘의 소반에서 떨어진

                                       복숭아(천반락도 天盤落桃)라 하여 마을 북쪽에 있는 산을 천반산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설도 있다.

 

                                       천반산은 사방이 깎아지른 험준한 절벽으로 에워싸여 있다. 여기에다 북으로는 덕유산에서

                                       발원한 구량천이 산자락을 휘감고 있으며, 서쪽과 남으로는 금강 상류를 이루는 연평천

                                      (일명 장수천)이 휘돌아 흐르고 있어 천혜의 요새를 방불하는 산세를 이루고 있다.

 

                                       이 산은 선조 22년(1589년)전라도를 반역향이라 하여 호남 차별의 분수령을 이룬 기축옥사

                                       주인공 정여립 (1546~1589)의 한이 서려 있는 곳이다. 정여립은 전주 남문 밖에서 태어나

                                       선조 3년 25세 때 문과에 급제하여 수찬이라는 벼슬에 올랐으나, 선조와 서인들의 미움을 사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낙향, 대동계를 조직하고 모악산 앞 제비산(현재의 김제시 금구면)에

                                       머물면서 죽도에다 시설을 지어놓고 천반산에서 군사훈련을 시켰다고 한다.

 

                                       정여립은 선조 22년 역모로 몰리자 아들과 함께 죽도로 피신했다가 관군에 쫓기자

                                       이 산에서 자결했다고 전해진다. 천반산에는 정여립이 성터와 망루로 사용하던 한림대터,

                                       그가 뛰어다녔다는 뜀바위 등이 남아 있고, 군사를 조련할 때 사용했다는 거대한 돌솥이

                                       묻혀 있다는 전설도 전해진다.

 

                                       <동서만록>에 의하면 정여립은 평소에 천반산 아래 죽도를 자주 찾았기에

                                       그를 죽도선생이라 불렀다고 하며, 더욱이 역적도 아니었기 때문에 죽도로

                                       피난 간 것이 아니라 평소처럼 죽도의 비경을 즐기려고 나왔다가 관군에게

                                       잡혀 억울하게 죽었을 뿐 자살로 조작되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단종 때 왕위찬탈에 항거하여 벼슬을 버리고 낙향한 송판서가 수도하였다는 송판서굴,

                                       그리고 송판서의 부인이 살았다는 할미굴, 정여립이 친지들과 바둑을 두었다는 말바위 등이

                                       산자락에 자리하고 있다. 산 아래 신기 마을은 정감록이 예언한 10승지의 한 곳이다. 조선조

                                       유학자인 유겸안이 겸안록을 통해 이곳의 지리가 호남 제일의 땅이라고 칭송하고 있기 때문이다.

 

                                       천반산 서쪽 금강과 구량천이 파(巴) 자처럼 돌아나가는 육지 속의 섬 죽도는 넓은 모래사장과

                                       자갈밭으로 이뤄진 한 폭 그림과 같은 아름다운 곳으로 정평이 나 있다. 그러나 천혜의 비경지대인

                                       죽도는 세월따라 용담댐이 만수위가 되면 절반 가량이 수몰된다고 주민들은 말한다.



                                                                                              -월간<산> 2002년 9월호에서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