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잼&노노플라 대표 신영민 목사-잼을 판매 하지만 플라스틱 사용에 대한 책임감도 함께 나누고 싶었고, 환경운동 분야에도 미력하나마 도움이 되고 싶은 마음을 담았습니다
“잼을 판매 하지만 플라스틱 사용에 대한 책임감도 함께 나누고 싶었고, 환경운동 분야에도 미력하나마 도움이 되고 싶은 마음을 담았습니다.”
전주 삼천동에서 잼을 제조해 판매를 하고 있는 꿀잼&노노플라 대표 신영민 목사. 그가 잼을 제조해 판매를 하게 된 것은 부교역자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신 목사는 “아름다운교회에서 선교바자회를 할 때 5년 동안 성도님들을 통해 딸기잼을 만드는 방법을 배우게 됐다. 그때 배운 경험을 가지고 이 사업을 시작했다”며 “이 사업은 1년 됐다. 사회적 기업으로 키워갈 것”이라고 밝혔다.
꿀잼&노노플라는 지난 1년 전 교회개척과 함께 시작됐다. 신 목사는 “평소 교회를 개척하게 되면, 사업을 통해 얻은 수익금으로 이웃을 섬기는 목회를 생각했다. 그 비전은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교회에서는 사례비를 받지 않는다”며 “이제 시작이다. 사실 사업을 통해 여러 가지를 배운다. 사업이 어려운 성도들의 마음도 알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꿀잼&노노플라는 네이버 쇼핑에서는 노노플라라는 상호로 판매를 하고 있다. 앞으로 활동 또한 꿀잼이 아닌 노노플라로 하게 될 예정이라고 신 목사는 귀뜸한다. 노노플라는 노노플라스틱의 줄임말이다.
신 목사가 영업을 시작하면서 가장 고민했던 것은 택배를 발송할 때 완충제였다. 뽁뽁이만큼 좋은 완충제는 없지만, 사업체와의 이름과 방향성에 맞지 않아서이다.
그는 소비자에게 ‘No Plastick’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완충제부터 달라야 한다는 생각에 종이재질 완충제와 선물과 택배 발송용으로 손색이 없는 박스를 제작했다.
신 목사는 무엇보다 로컬푸드나 대형마트에 유통되고 있는 잼 유통의 안정성을 위해, 크게 두가지를 지켜가고 있다. 안전당도와 수분율이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제품은 딸기잼, 무화과잼, 백향과잼 등이다.
신 목사는 “안전당도를 위해 ‘당 원료’를 주부들이 선호하는 이상을 사용하고 있다. 제품에 있는 수분은 빠른 부패의 원인이 되고 있다”며 “그래서 펙틴을 사용해 잼의 응고를 도와준다. 이것이 일반적으로 유통되어 판매되는 맛있는 잼 맛”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달지 않고 발림성이 좋은 잼을 찾는 소수의 소비자까지는 충족을 시키지 못하는 것이 유통 잼이라고 덧붙였다.
꿀잼&노노플라는 과일의 맛을 극대화 시키기 위한 과일과 설탕의 비율(제품에 따라 레몬, 시나몬 첨가)로 제조한다. 신 목사는 “그러다 보니 안전당도를 지키지 못한다. 많이 달지 않다 보니 보존에 있어서 유통 잼 보다는 약하다”며 “하지만 기재 돼 있는 보관방법만 잘 지키면 다 소비 하기까지 상하지 않고 드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것은 단점이면서, 노노플라의 가장 큰 장점이기도 하다. 재구매가 이루어지는 핵심 요소이다. 노노플라는 현재까지는 펙틴을 따로 첨가하지 않고 있다.
정읍신광교회 출신인 신 목사는 오늘도 부푼 꿈에 믿음의 날개까지 부착해 행진을 펼쳐가고 있다. 신 목사는 “저에게는 분명한 꿈이 있다. 그 꿈을 이뤄가기 위해 한걸음씩 정진해 갈 것”이라며 “그 길이 분명 힘이 들고 어려울지라도 포기하지 않겠다. 왜냐하면, 그 꿈은 하나님께서 나에게 주신 비전이며 소망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임채영 기자